본문 바로가기
시사

중동은 왜 끊임없이 갈등하는가

by eomeo.net 2025. 4. 21.
반응형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휴전의 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분쟁은 반복되는 휴전과 재개로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켜왔다. 2024년 말, 하마스와 이스라엘은 인질 교환과 단계적 휴전이라는 조건으로 평화 합의에 돌입했다.

1단계는 하마스가 살아있는 인질 25명과 사망자 포함 총 33명을 석방하고, 이스라엘은 수백 명의 팔레스타인 수감자를 석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협상이 2단계로 이어지기 전, 이스라엘은 갑자기 휴전 연장을 요구하며 공세를 지속했다. 그 이유는 겉보기에는 하마스가 구호물자를 군사화하고 있다는 명분이었지만, 전문가들은 네타냐후 총리의 정치적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에 무게를 싣는다.

네타냐후의 정치 게임

이스라엘 정치 내에서 네타냐후는 연정 붕괴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휴전 협상이 진행되자 우파 연정 파트너 중 일부가 이탈하며 네타냐후는 과반 의석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이로 인해 그는 전쟁을 지속하며 여론 결집과 정치적 생존을 도모했고, 결과적으로 다시 연정 지지를 회복했다. 이는 이스라엘 국민들 사이에서도 "개인의 정치적 생존을 위해 국가 전체가 끌려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시리아의 혼돈과 재편

시리아는 내전 이후에도 여전히 복잡한 분열 상태다. 현재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한 임시 정부는 트리키예(터키)의 후원을 받고 있으며, 쿠르드 세력과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시리아 전역이 여러 세력으로 갈라져 있다는 것이다. 쿠르드 세력, 트리키예 점령지역, 미국 주둔지, 반군 거점, 그리고 신정부 지역 등이 모자이크처럼 얽혀 있다.

특히 쿠르드와 임시정부의 협력은 트리키예를 자극하고 있으며, 이스라엘도 드루즈 소수종교 집단의 보호 명분으로 남부 시리아에 개입하고 있다. 이런 다중 세력의 충돌로 인해 시리아는 하나의 국가라기보다는 여러 세력의 이해관계가 얽힌 공간이 되어버렸다.

반응형

종교가 만든 국경의 비극

현대 중동 국가들의 경계는 대부분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열강이 설정한 것이다.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팔레스타인 등은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편의적으로 구획되었으며, 이는 종교와 민족의 다양성을 무시한 채 인위적으로 구성된 국가들을 탄생시켰다.

이러한 구조는 소수파가 다수파를 지배하는 구조를 낳았고, 결국 종교 갈등과 정체성 분열로 이어졌다. 레바논의 경우 마론파 크리스천 중심의 국가로 설계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며 인구 구성과 권력 구조 간의 괴리로 인해 내전과 정권 혼란이 반복되고 있다.

이슬람 세계의 극단주의 문제

 

무슬림 다수 국가에서는 종교 자유의 개념이 다르게 해석된다. 믿는 자유는 허용되지만, 개종이나 선교의 자유는 제한된다. 이는 이슬람 근본주의 해석에 따른 것으로, 샤리아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며 현대적 맥락 없이 적용하는 것이 문제다.

시리아를 장악한 극단주의 세력 역시 이슬람을 자기 입맛대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는 내부 소수 종교인 드루즈 및 크리스천의 박해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외국에서 유입된 극단주의 세력이 시리아에 영향을 끼치고 있어 정통 시리아인들조차 자국 내에서 이방인처럼 느끼게 만들고 있다.

한국의 외교 딜레마

한국 정부는 최근 새 시리아 임시정부와 수교를 추진하며 외교적 접촉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중동 시장의 외교 다변화와 에너지 외교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아직 국제 사회에서 안정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한 시리아 정권과의 관계 설정은 외교적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결론: 중동, 언제쯤 조용해질까?

중동의 혼란은 단순히 종교 갈등이나 테러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식민의 유산, 종교 해석의 차이, 정권 유지의 정치적 전략, 외세 개입 등이 얽힌 복합적 결과다. 특히 시리아와 이스라엘은 그 중심에 있으며, 이들이 진정한 평화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종교를 넘어선 정치적 타협, 민족 간 공존, 국제사회의 신중한 개입이 절실하다.

중동은 '역사의 거울'이다. 과거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그 안에서 교훈을 읽어내야 한다.

 

중동 전쟁과 금리 결정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넷 블로그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나스닥 지수가 1.5% 하락하는 등 주식 시장 전반이 약

blog.eomeo.net

 

 

반응형